1. 생물반응조 물이 머무는 시간, 미생물이 머무는 시간하수처리시설(공공폐수처리시설)에서 근무하다 보면 가장 신경이 쓰이는 공정이 바로 생물반응조(Biological Reactor)입니다.왜냐하면 이곳은 BOD, COD, 질소, 인 같은 주요 오염물질을 실제로 제거하는 핵심 구간이기 때문입니다.저도 처음 현장에 들어왔을 때는 “생물반응조는 그냥 공기만 불어넣는 곳” 정도로 생각했습니다.하지만 실제로 운영하다 보니 체류시간을 조금만 잘못 관리해도 방류수 수질이 바로 변하고, 규제 기준 위반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걸 뼈저리게 느꼈습니다.그중에서도 체류시간(HRT, Hydraulic Retention Time)과 슬러지 체류시간(SRT, Sludge Retention Time)은 설계와 운영에서 절대로 빼놓을..
1. TOC의 중요성폐수 속에는 수많은 유기물이 섞여 있습니다.이 유기물은 하천에 방류되면 용존산소(DO)를 고갈시키고 수질오염과 악취를 유발합니다.전통적으로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나 COD(화학적 산소요구량)로 유기물 오염 정도를 평가했지만 이들은 측정 시간이 길거나(BOD는 5일) 산화 불완전 문제 등이 있었습니다.여기서 등장한 지표가 바로 TOC(Total Organic Carbon, 총유기탄소)입니다.TOC는 폐수 속 유기물이 포함하고 있는 탄소(C)의 양을 직접 측정해 빠르고 신뢰성 있게 수질을 평가합니다.TOC는 “폐수 속 유기물의 총량을 보여주는 체중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2. TOC의 정의와 원리2.1 TOC란?TC (Total Carbon) = 총탄소 (유기+무기)IC (Inorg..
1. 1차 침전지 체류시간이 중요성하수처리장(공공폐수처리시설)에서 근무하다 보면 하루하루가 다릅니다.아침 출근 시간대에는 생활하수가 갑자기 폭발적으로 들어오고 밤에는 유량이 눈에 띄게 줄어듭니다.비 오는 날이면 유입량이 순식간에 몇 배로 늘어나고 주말에는 평일보다 확연히 줄어듭니다.이런 유량 변화는 1차 침전지에서 바로 체감됩니다.체류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으면 고형물이 다 가라앉지 못하고 그대로 다음 공정으로 넘어갑니다.그러면 폭기조는 하루 종일 힘겹게 돌아가고 슬러지 처리량은 배로 늘어나죠.반대로 체류시간이 길어지면 침전 효율은 좋아지지만 여름철에는 물이 오래 머무는 동안 혐기화가 진행돼서 악취가 발생합니다.실제로 저도 여름철 고온기에는 침전지 위를 지나가기 힘들 정도로 냄새가 심했던 경험이 있습니..
1. 물 관리와 기후 위기의 교차점21세기는 기후변화와 물 부족이라는 두 가지 환경 위기가 동시에 인류를 압박하는 시대입니다.기온 상승으로 인해 가뭄이 심해지고, 집중호우는 도시 침수와 수질오염을 유발합니다.이 과정에서 폐수처리시설은 단순한 수질 정화 시설을 넘어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 인프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많은 사람들이 탄소중립을 에너지,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만 찾지만, 사실 폐수처리 분야는 막대한 전력 소모와 온실가스 배출 구조를 지니고 있어 간과할 수 없는 탄소 배출원입니다.따라서 폐수처리와 탄소중립을 연결하는 시각은 환경 엔지니어링뿐만 아니라 도시 정책, 국가 전략에도 매우 중요합니다.2. 폐수처리시설과 탄소 배출 구조2.1 에너지 다소비 산업폐수처리 과정은 24시간 연속 가동되며, 송풍기(..
1. 유량조정조 체류시간이 중요한 이유하수처리시설(공공폐수처리시설)에서 근무하다 보면 매일 부딪히는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바로 유입 유량과 수질의 불균등성입니다.아침 출근 시간대에는 생활하수가 폭발적으로 들어오고 밤늦은 시간에는 유량이 확 줄어듭니다.평일과 주말, 비 오는 날과 맑은 날, 산업단지 가동일과 휴일마다 유량이 들쑥날쑥합니다.이런 변동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게 1차 침전지, 생물반응조, 고도처리 공정입니다.실제로 현장에서는 오늘은 부하가 심하네라는 말이 하루에도 몇 번씩 나옵니다.그때마다 체감하는 게 바로 유량조정조의 체류시간(HRT, Hydraulic Retention Time)의 중요성입니다.2. 유량조정조의 개념과 기능 (현장 시각에서)제가 현장에서 느낀 유량조정조는 단순한 탱크가 아..
1. 왜 수돗물 안전이 중요한가?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물은 단순히 갈증을 해소하는 음료 그 이상입니다.밥을 짓고, 국을 끓이고, 과일을 씻고, 아이의 분유를 만들 때까지 수돗물은 우리의 삶 깊숙이 스며들어 있습니다.따라서 수돗물의 안전성은 건강, 위생, 그리고 삶의 질과 직결됩니다.한국은 세계적으로 상수도 보급률이 높은 나라로, 환경부의 철저한 관리 아래 수돗물이 생산·공급됩니다.그러나 가정에서 실제로 나오는 물은 배관, 저수조, 가정 내 관리 상태에 따라 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따라서 국가가 안전하게 관리한다는데 우리 집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물은 정말 괜찮을까?라는 의문이 종종 생깁니다.2. 제도적으로 관리되는 수돗물 안전성2.1 먹는물 관리법에 따른 관리한국의 수돗물은 「먹는물 관리법」과 환경부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