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공폐수처리시설과 고도처리 기술의 필요성하수처리시설(공공폐수처리시설)은 가정, 상업, 산업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를 모아정화하는 핵심 환경 인프라입니다.기본적인 처리 과정(1차·2차 처리)으로는 부유물질, 일부 유기물, 영양염류를 제거할 수 있지만병원성 미생물, 미량 유해물질, 색도·냄새 문제를 완벽히 해결하기는 어렵습니다.특히 최근에는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방류수 재이용 및 수자원 확보 필요성이 높아지면서고도처리 기술(Advanced Treatment)이 필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고도처리는 기본 처리 이후에도 남아 있는 미세오염물질, 병원균, 색·냄새 등을 제거하여수질을 향상시키는 공정입니다.그중에서도 UV 살균(Ultraviolet Disinfection), 오존 처리(Ozone ..
1. 공공폐수처리시설의 물리적 처리법과 화학적 처리법하수처리시설(공공폐수처리시설)은 하수나 산업폐수, 생활폐수를 정화해 수질을 개선하고 하천·호수·바다 등자연수계로 방류하기 위해 설치·운영되는 핵심 환경시설입니다.폐수에는 부유물질, 기름, 중금속, 유기물, 영양염류 등 다양한 오염물질이 섞여 있으며이를 제거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처리 공정이 사용됩니다.처리 방법은 크게 물리적 처리법, 화학적 처리법, 생물학적 처리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물리적 처리법과 화학적 처리법을 중심으로 원리, 종류, 장단점, 실제 적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 본 블로그에서는 독자의 이해와 검색 편의를 위해 “하수처리시설(공공폐수처리시설)”이라는 표현을 함께 사용합니다. 법적으로는 「하수도법」에 따른 하수처리시설(생활하수 중심)..
1. 질소·인 제거 공정이란?하수 및 폐수에는 유기물뿐만 아니라 질소와 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이 두 영양염류는 수생태계에서 필수 영양분이지만 농도가 높아지면 부영양화 현상을 유발하여조류 번식, 악취, 수질 악화를 초래합니다.이에 따라 하수처리시설에서는 방류수 수질 기준을 충족하고 수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질소와 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운영합니다.2. 질소 제거 공정 원리질소 제거는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질소 제거 방식이 많이 쓰이며 주로 질산화와탈질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1) 질산화 (Nitrification)- 목적 질산화는 하수 속 암모니아성 질소(NH₄⁺-N)를 안정적인 형태의 질산성 질소(NO₃⁻-N)로 산화시키는 두 단계의 호기성 미생물 반응입니다. - 미생물 : 질산화세균(N..
하수처리시설(공공폐수처리시설)에서는 수질을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해 여러 가지 지표를 사용합니다. 그중에서도 BOD, COD, T-N, T-P는 가장 핵심적인 수질 관리 지표로, 하수와 폐수 속 오염 정도와 처리 효율을 평가하는 기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BOD와 COD, T-N과 T-P의 개념과 차이, 측정 방법, 그리고 수질 관리에서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BOD와 COD의 개념과 차이1.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BOD는 일정 기간 동안 미생물이 물속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데 소비하는 산소량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5일 동안 측정하며, 단위는 mg/L로 나타냅니다. BOD는 하수나 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의 양을 간접적으로..
1. 슬러지란 무엇인가?슬러지는 하수처리, 산업폐수 처리, 정수 과정 등에서 물을 정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물과 고형물이 혼합된 반고체 상태의 부산물입니다.발생 원인과 성분은 다양하지만, 수분 함량이 90% 이상으로 매우 높아 점성이 크고 부피가커서 취급과 처리가 까다롭습니다.슬러지는 주로 미생물, 유기물 찌꺼기, 토사, 화학물질 등을 포함하며, 그중 일부는 환경과인체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적절히 처리하지 않을 경우 부패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고, 병원성 미생물이나 기생충 알이전파될 수 있으며, 중금속이나 독성 화학물질이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1. 유기물 : 미생물의 사체, 분해된 유기물, 식품 찌꺼기 등2. 무기물 : 토사, 모래, 중금속, 화학약품 찌꺼기 등3. 수분 : 대..
1. 미생물이란 무엇인가?생활하수와 공업폐수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이를 안전하게 처리하지 않으면 환경오염이 됩니다.하수처리시설(공공폐수처리시설)에서의 정화 과정은 이러한 오염 물질을 제거하여 방류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드는 과정을 말합니다.이 과정에서 ‘미생물’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미생물은 하수 속 유기물과 각종 오염물질을 분해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미생물은 육안으로 볼 수 없을 만큼 작은 생물체로, 박테리아(세균), 고세균, 진균(곰팡이류),원생동물 등을 말합니다.그중 박테리아와 원생동물이 하수처리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미생물은 영양분을 섭취하고 생장하면서 오염물질을 분해해 물을 정화시킵니다. ※ 본 블로그에서는 독자의 이해와 검색 편의를 위해 “하수처리시설(공공폐수처리시설)..